본문 바로가기
ㆍ건강상식 및 질병

불면증에 대해서 생각, 강박관념 없애기 (1)

by 구글의사 2020. 7. 26.
뻔한 치료법은 가라. 원리를 알고 그 상태를 파악하자. 구글 의사입니다. 오늘은 불면증에 대한 강박관념과 생각 없애기에 대해서 말씀드리고 싶은데, 먼저 이 강박관념과 생각은 어디서 오는가? 그 원천의 감정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봅시다.

 

 

불면증에 대해서 생각, 강박관념 없애기


불면증이 가장 심한 부분 중 하나가 강박관념, 그리고 생각이 많아서 잠을 자지 못하는 것 입니다. 우리의 뇌는 '안정' 이라는 자신의 가장 편안한 분위기가 되었을 때 잠에 들기 시작합니다. 잠에 들려면 먼저 몸을 움직이지 말아야 하는데, 생각과 잠에 들지 못한다는 공포가 엄습하면서, 뒤척이게 되고, 또 몸은 움직이지 않아도 뇌는 깨어있는 각성단계에 이르게 됩니다. 여기서 가장 무서운 점이 한 번 강박관념과 생각이 깊어지기 시작하면 아무리 졸려도 잠을 잘 수 없게 된다는 점이죠. 

 

 

 

 

 

 

 

 

 

 

 

 

 

 

수 없이 뒤척이고, 일찍 누워도 1시간, 2시간이 지나면서 자신감이 점점 사라지게 됩니다. 

 

 

"내일 피곤하면 어떡하지?"

"또 피곤할 거야"

"잠을 많이 자야 건강한데, 난 지금 건강하지 못해"

"지금 자면 또 3시간밖에 못 자겠구나."

"이러다가 죽는 거 아니야?"

 

등등 여러 가지 부정적인 생각이 머리에 가득 차게 되면서 우리는 점점 불안감에 들어갑니다.

 

"불안감?"

 

네, 사실 불면증 중 심리적 압박이 가능 큰 이유는 불안감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종종 가끔 의욕이 아주 넘쳐서 잠을 아까워하는 강박관념의 극소수 환자분들이 계십니다. 이런 부류들은 의욕이 넘쳐서, 내일을 빨리 맞이하고 싶은 열정적인 사람들이 주로 걸리는 이상한 불면증이에요. 이 또한 다음 챕터에서 같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네? 저는 불안하지 않아요."

 

많은 사람들이 자신이 불안하지 않고 잠에 드는 것이 꼭 '생각이 많아서, 혹은 강박관념이 심해서'라고 알 고 있어요.

정작 원인은 불안하기 때문에 머리는 긴장을 하게 된다는 점이죠. 자, 그런 가까운 예를 들어볼게요.

 

아까 위에서 언급한 바로는 몸이 가장 편안한 상태일 때 우리는'안정'이라는 감정을 느끼게 되고 잠에 든다고 알고 있어요. 하지만 불안하게 되면 안정이란 단어가 올 수 있을까요?

 

'내일 중요한 회의가 있습니다.'

'내일 중요한 면접이 있습니다.'

'내일 중요한 ~'

'내일 잘못 서류를 올려서, 상사에게 혼나겠지?' 등과 같은 많은 일들이 있을 거예요^^.

 

 

이걸 미뤄봐서 우리는'불안하다'라고 하는 겁니다.

그리고 이 불안함은 잠을 자지 못하게 하고, 이것이 꾸준히 지속되면 우리는 '불면증' 단계에 오게 되죠.

 

 

강박관념과 집요한 생각은 불안한 무언가를 제거해야 하는데 점점 수면을 못한다는 자신감 저하로 이어지게 된다는 것이죠.

 

그리고 이것이 다시 강박관념이 되어 

 

"내일 피곤하면 어떡하지?"

"또 피곤할 거야"

"잠을 많이 자야 건강한데, 난 지금 건강하지 못해"

"지금 자면 또 3시간밖에 못 자겠구나."

"이러다가 죽는 거 아니야?"

 

쳇바퀴를 돌게 됩니다.

 

 

원인은 '불안함'인데 점차 나는 '부정적'으로 바뀌다 못해 '강박관념' 이 되어버리는 것 이죠.

 

이 원리를 파악했다면 순차적으로 다시 풀어나가야겠죠?

 

2편에서 치료법을 말씀드리겠습니다.

 

 

 

불면증에 대해서 생각, 강박관념 없애기 (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