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글의사의 지식창고37

감기(2) - 어떻게 해야 낫게 되는 걸까? 감기 바이러스에 걸리게 되면 여러 갖가지 증상이 일어 나는데, 대부분의 증상은 발열, 기침, 콧물, 심하면 오한을 느낄 수 있고 설사를 동반한 소화 불량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여러 증상을 겪게 되는 이유는 우리 몸에서 감기 바이러스와 싸우기 때문인데요. 먼저 그 원리를 파악해 볼까요? 감기 바이러스가 몸에 침투하게 되면 발열이 시작됩니다. 즉, 세포 활동을 극대치로 끌어 올리기 위해 우리 몸에서는 세포들이 가장 활발하게 움직일 수 있는 활동환경을 제공해주는 것 이죠. (세포 단백질은 어느정도 온도가 맞는 선이 있습니다. 그 선이 되어야 활발한 활동을 시작합니다. 1편에서 설명 드렸듯이 체온이 1도 올라 갈 때 마다 면역력이 증가하는 원리가 같습니다.) "엥? 근데 발열되면(몸에 열이 나면) 열을 내리려.. 2020. 7. 6.
감기(1) - 감기란 무엇일까? 감기라는 것은 무엇 일까요? 감기는 영어로 COLD라고 합니다. (그냥 자랑 해 봤습니다.) 대부분 심한 일교차, 건조할 때 걸리는 병이죠. 감기는 국민 병이라고 불릴 만큼 흔한 병인데요. 감기를 안 걸려 본 사람은 대부분 없을 겁니다. 사실, 이 감기라고 불리는 건 급성 후두염, 급성 인후두염, 급성 비염, 급성 비염 등이 나누워 지는데, 감기의 종류는 정확하게 진단 할 수 없습니다. 목이 아프면 목감기, 콧물이 나면 코감기, 재채기가 나오면서 열이나면 열감기 등으로 불리게 되는 거죠. 급성 호흡기 질환을 대부분 감기로 통상하고, 몸살 또한 감기 범주에 속해 그냥 편하게 부르는 겁니다. 그와 걸맞는 병들이, 몸이 으슬으슬 하거나 쑤실 때도 있는 근육통을 동반하기도 하죠. 몸살 감기라고 합니다. 여러가지.. 2020. 7. 6.
탈모 (2) - 치료법 및 관리법 먼저 탈모 1편 (https://health-119.tistory.com/9) 을 보고 와주시면 됩니다. 1편 없이 2편 부터 본다면 탈모에 대한 원인과 원리를 모르기 때문에 과연 도움이 될까 싶을 정도네요. 원리를 알아야지 병이 보인다는 말은 제가 블로그를 하면서 강조하는 말이니 참고해주시길. 탈모라는 질병은 세기를 거칠 수록 많은 분들의 고민이며 지금은 어른 젊은 층 20대 까지 빠르면 10대 부터 탈모가 시작되어 오곤 하죠. 10대의 탈모 증상은 대부분 스트레스가 원인이며, 심한 경우는 유전입니다. 머리가 빠르게 숱이 적어지고 가늘어진다는 걸 파악 했을 때는 바로 병원을 찾아 진료를 해주셔야 합니다. 머리가 빠지고 가늘어 지는 걸 느끼면서 "아닐거야" 라는 부정은 아무런 소용이 없습니다. 먼저 탈모.. 2020. 7. 5.
탈모(1) - 탈모, 너 왜 생기는거야? 안녕하세요 전국에 대머리 빡빡이 여러분들, 오늘도 빠지는 머리카락에 속수무책으로 당하며 침울한 일상을 지내시고 계십니까. 먼저 탈모에 대한 오해와 진실, 그리고 어떻게 해야하는지 관리법까지 알려드리겠습니다. 탈모, 너 왜 생기는거야? 도대체 머리는 왜 빠지는 걸까? 머리가 빠지는 이유는 다양하게 존재하지만, 스트레스, 수면부족, 영양상태 등등 많은 이유가 있겠으나 그런 뻔~한 소리를 한다면 구글박사의 블로그가 절대 아니죠. 자, 먼저 진짜 이유에 대해서 3가지를 알려드리겠습니다. 1. 두피 각화증 (지각화) 두피각화증은 다양한 현상에 의해서 나타는데 주로 사춘기 시절이나 유전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뭐 머리가 쉽게 기름지거나 머리에 너무 많은 유분이 함유되어 있으면 각질층이 두꺼워지고 지각화 현상이 일어납.. 2020. 7. 4.
항히스타민제 (피부, 알레르기 비염 약) 항히스타민제? 항히스타민제는 주로 알레르기 비염이나, 다른 외적인 알레르기 등에 쓰입니다. 항히스타민제는 두드러기, 발적, 소양감 등의 알레르기성 반응에 관여하는 히스타민의 작용을 억제하는 약물이다. 알레르기성 질환 외에도 콧물, 재채기, 불면, 어지러움증, 구토, 멀미 등을 완화하는데 사용된다. 약물의 종류에 따라 정도가 다르기는 하지만 대표적인 부작용은 졸음, 진정작용과 같은 중추신경계 부작용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항히스타민제 (약학용어사전) 항히스타민제 복용 / 종류 / 원리 주로 감기약에 많이 들어있습니다. 급성으로 콧물이 나는 경우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합니다. 또는 피부 소양감, 두드러기 등에서도 많이 쓰이기도 합니다. 알레르기 비염에도 쓰이니까 알아두세요. 약의 종류는 항히스타민제는 1제와 .. 2020. 7.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