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글의사의 지식창고37

만성 소화불량 어떻게 치료할까? 소화가 잘 안되는 것은 21세기 들어서 많은 사람들이 스트레스, 잠 부족, 사무직처럼 계속 앉아있는 분들에게 일어나는 특수한 현상이 아닌 누구나 다~ 있는 현상이다. 이런 현상을 알기 위해서 간단한 지식부터 쌓고 가는 것을 추천한다. 본블로그는 한의학과 서양의학을 고루 다뤄 알기쉽게 설명하는 바이다. 만성 소화불량인 사람들은 매우 고통스럽습니다. 맞죠? (아니면 나가세요.) 만성 소화불량에 걸리게 되면 복통, 장염, 특히 체끼가 가장 많고, 소화가 잘 안되는 분들입니다. 가만히 앉아서 먹기만 하면 살이 찐다고 하는데 이런 분들은 또 살도 안찌는 체질이에요. 원래 원초적으로 소화기능이 약했던 사람들은 틈만나면 소화가 잘 안됩니다. 역류성 식도염이나 장염을 달고 사는 분들도 많습니다. 일단 처음으로 우리가 .. 2020. 9. 1.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에 대해서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에 대해서 코로나 바이러스는 왜 치료제 만드는 것이 어려울까요? 어려운 논제는 집어치우고 이 구글의사가 쉽고 빠르게 알려드리겠습니다. 세계를 공포로 몰아넣은 코로나 사태에 우리는 어떤 자세를 갖추고 약에 대한 접근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코로나 바이러스는 폐렴 세포인데, 메르스와 형제 세포에요. 그냥 비슷한 종인데 그것보다 좀 더 강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현재 우리나라 의학에서 감기 바이러스에 대한 약이 나왔을까요? 정답은 No. 우리는 현재 감기 바이러스에 대한 약도 만들어내지 못했습니다. 그저, 증상을 다스려주고 (가라 앉게) 면역으로 이기는 셈이죠. 현재 코로나도 마찬가지입니다. 메르스도 마찬가지였고요. 우리가 치료가 되는 과정은 항생제도 분명 쓰이긴 하겠지만, 정확하게 바.. 2020. 8. 27.
닭고기(치킨)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에 좋지 않다. 치느님이라고 불리는 (치킨)닭고기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을 가진 사람에게 좋지 않다는 말을 작성하기전에, 체질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니 어느 정도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 닭고기(치킨)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에 좋지 않다. 닭고기의 성질부터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닭고기는 따뜻한 성질이 강해 몸을 뜨겁게 해줍니다. 모든 음식에는 성질이 있어요. 예를 들어서 부추를 설명 해 드리면 부추 또한 따뜻한 열의 성질이 있기에 스테미나에 탁월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닭은 성질이 따뜻한 성질을 갖추고 있더라도 '단백질'로 구성 되어 있죠. 이 단백질은 근육을 만드는데 어느 음식보다 탁월한 효과를 갖추고 있지만, 단백질은 식이섬유가 없어 답답한 느낌을 만들어 줍니다. 이건 보충제를 먹는 사람들이 공.. 2020. 8. 16.
과민성 대장 증후군에 대해서 (2) - 치료법 https://health-119.tistory.com/28 (1부) 과민성 대장 증후군 원인 과민성 대장 증후군에 대해서 많은 고생을 하시는 분들을 위해서 치료법이 "이거다"라고 말하면 감사합니다. 하겠지만, 이 치료 법은 그저 단순한 패턴의 반복입니다. 즉, 이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치료는 근성적으로 해야 하는 '훈련'입니다. 좋아진다고 더 진행하지 않으면 되돌아오니 잘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과민성 대장 증후군 치료법 - 훈련(조절하기)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증상 원인 중 가장 큰 것은 천차만별로 어떤 특정한 음식을 먹었을 때 "이건 나한테 맞지 않네"라는 생각을 갖고 계시는 분들이 있으면서도 "그래도 먹고 싶다"라는 유혹을 끊지 못하는 겁니다. 음식의 유혹은 정말 어려우니까요. 하지만 괜찮습니다. .. 2020. 8. 10.
과민성 대장 증후군에 대해서 (1) - 원인 - 습관 /심리적 ※ 과민성 대장 증후군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고 알아가는 시간입니다.병을 낫고 싶다면 처음부터 꼼꼼하게 왜 자신이 병에 걸렸고, 어떤 원인이고 어떻게 치유해야 하는지 자신의 몸에 알맞는 지식을 쌓고, 그렇게 행하면 병은 낫게 되어 있습니다. 한 자 한 자 꼼꼼히 읽어보세요. 낫기 싫으면 읽지말고, 대충 읽으세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원인은 도대체 뭘까? 과민성 대장 증후군은 한국인들의 고질병이라고 불릴만큼 많은 사람들이 갖고 있는 증후군 중 하나 입니다. 하지만, 장내시경을 통해서 장을 알아봐도 딱히 문제가 될 것이 없습니다. (원인 무엇?) 의사 曰 "응? 문제가 없네?" 흔히 심리적이다, 뇌-장기관의 상호작용이다 등의 문제를 원인으로 꼽습니다. 하지만 이 구글 박사는 십중팔구 대부분 습관과 심리적이라.. 2020. 8.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