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ㆍ건강상식 및 질병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에 대해서

by 구글의사 2020. 8. 27.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에 대해서 

 

 


 

코로나 바이러스는 왜 치료제 만드는 것이 어려울까요? 어려운 논제는 집어치우고 이 구글의사가 쉽고 빠르게 알려드리겠습니다. 세계를 공포로 몰아넣은 코로나 사태에 우리는 어떤 자세를 갖추고 약에 대한 접근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출처: https://www.ibs.re.kr/dext5data/2020/03/20200305_170949707_09912.jpg

 

 

코로나 바이러스는 폐렴 세포인데, 메르스와 형제 세포에요. 그냥 비슷한 종인데 그것보다 좀 더 강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현재 우리나라 의학에서 감기 바이러스에 대한 약이 나왔을까요? 정답은 No.

 

우리는 현재 감기 바이러스에 대한 약도 만들어내지 못했습니다. 그저, 증상을 다스려주고 (가라 앉게) 면역으로 이기는 셈이죠. 현재 코로나도 마찬가지입니다. 메르스도 마찬가지였고요. 우리가 치료가 되는 과정은 항생제도 분명 쓰이긴 하겠지만, 정확하게 바이러스균을 죽이는 약은 발명되지 않았습니다.

 

감기도 안되었고, 메르스 치료제도 없습니다. 그럼 무슨 말인지 아시겠죠?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 연구개발에 혈안을 벌이고 있고 주가도 왔다갔다 하면서 많이 고생들 하시지만, 현재 우리 의학으로 감기 바이러스 조차 이겨낼 재간이 없습니다.

 

 

 

 

출처: 기초과학연구원

 

 

코로나 바이러스는 총 현재 4가지 변형세포가 발견 되었습니다.

한 개만으로도 부족한데 4가지 변형세포가 발견되었고, 면역력도 A 바이러스에 걸렸을 때 변형된 B바이러스도 걸린다는 것... 아시고 계셨나요? 그 외로 코로나 재발도 있고 깜깜이 확진자로 인해서 전염되는 경우도 많죠.

 

우리 인체는 항체라는 게 있는데 저항이라는 것이에요. 예방접종을 맞는 이유는 예비군대를 창설하기 위함인데, 예방 주사의 원리는 약한 병균을 우리 몸에 주입해서 예행연습을 하게 하는 건데요, 이런 식으로 우리 몸에 균을 적응해서 소위 말 하는 면역세포를 늘리게 되는거죠.

 

바이러스의 정점은 사실은 '면역력' 입니다.

약은 의미가 없어요. 여태까지 우리가 봤던 바이러스의 종들이 몇가지 되겠지만 분명 약으로 효용이 되는 바이러스들도 있을겁니다. 하지만, 면역만큼 우리는 수 만가지 바이러스를 제압하는데 가장 효율이 있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약을 얻기 위해서 고군분투 하는 것 보다 면역체계를 늘리는 것이 좋을수도 있다는 말이죠.

그러기 위해선 우리는 예방접종이라는 면역을 먼저 길러야 하는데, 아직 개발 단계에 있죠.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집단감염이라는 말에 대해서 아시나요?


 

 

집단 감염은 사람들이 단체로 걸려서 면역력을 기르면 안 걸린 사람으로 부터 보호를 해줄 수 있다는 겁니다.

그렇게 우리 자체가 방패가 되어 마스크가 필요 없을 정도로 감염이 되면 우리는 이대로 코로나 바이러스를 보통 폐렴정도 처럼 안고 가는 셈인거죠. 제 생각에도 코로나 바이러스 전파성이 어마무시해서 우리가 방역을 한다고 한들 막아낼 병은 아닌 듯 하고, 그저 안고 평생 가야 할 병인 듯 합니다. 사라질 가능성이 보이질 않아요.

 

 

댓글